■ "유아중심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개인차를 고려한 적합한 활동은 무엇일까" 등의 질문은 유아교사라면 항상 직면하는 문제일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산업기반 사회에서 지식기반 사회로의 이동은 교육의 페러다임을 변화시켰는데, 특히 지금의 수업형태로는 사회가 요구하는 지식의 획득이 가능하지 않다고 많은 교육자들이 전망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도 대집단 위주의 지식 전달 수업체제나 개별학습 형태에서 소집단으로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이 중요시되는 형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많은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형태가 유아 중심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의 교육현장을 관찰하면 그렇지 안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현재의 교육 여건에 의해서 발생되는 문제일 수도 있다. 즉, 한 교실에 많은 유아가 있음으로써 대집단으로 수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을 고려하지 않고 학급 크기를 무조건 축소할 수는 없는 상황이므로 소집단 활동이 현실적이며 경제적인 대안으로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소집단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 이를 실행하기 어려웠다. 그 이유로는 교사 자신이 소집단 활동이 복잡하고 신경 쓰이는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거나 보조인력의 부재, 또는 적절한 활동 자료집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하여 집필진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해왔던 소집단활동 중에 교사나 유아에게 가장 만족감을 주고 상호 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졌던 활동을 중심으로 집필하기로 뜻을 모았다.
본 책은 소집단 활동 관련 이론 부분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부분으로 나누어 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이론편에서는 소집단 활동이 극대화를 도모하는데 효과적임을 많은 연구 결과 및 관련 이론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집단 활동과 협동학습의 차이를 밝히고 소집단 활동이 곧 협동학습은 아니지만 협동학습을 위하여 소집단 활동이 필수적이며,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소집단 활동을 통하여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협동학습을 도모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소집단 활동의 운영에 필요한 학습모형 및 유형을 설명하고 절차, 평가, 교사의 역할 등을 소개하였다.
실제편에서는 다양한 소집단 형태에 따른 활동들을 제안하였는데 분리된 영역보다는 통합된 전체로서의 활동에 의미를 두었고, 유아들 스스로의 주도적 역할과 소집단 내에서의 협동을 강조하였다. 본 책에 소개된 소집단 활동들은 서울에 소재한 송원, 리라, 리아에 소재한 유치원 및 구립 조은 어린이집에서 수행된 수업활동이다.
본 책은 현장 경험이 풍부한 유치원 교사들이 수업과 집필에 참여함으로 현장에 더 가까운 소집단 활동서의 첫걸음을 띠었다고 자부한다.
2003년 2월 저자일동
ㅣ 차 례 ㅣ
제1장 소집단 활동의 필요성
1. 집단 크기 영향
2. 학급 규모 축소 운동
제2장 소집단 활동과 협동학습
1. 소집단 활동의 의미
2. 협동학습과의 관계
3. 소집단 활동의 이론적 기초
4. 소집단 활동에 따른 효과
제3장 소집단 활동의 운영
1. 소집단 활동에 기초한 학습 모형
2. 집단 구성
3. 유형 및 절차
4. 평가
5. 교사의 역할
6. 운영시 고려할 점
제4장 소집단 활동의 현장 적용
1. 소집단 활동 형태
2. 연령별 활동 형태
3. 기초 활동
4. 소집단 활동의 절차
5. 소집단 활동의 내용 선정
■ 김 영 주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문학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청강문화산업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김 정 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졸업(문학석사)
전, 송원유치원 원감, 상명대 부속유치원 원감
현, 리아유치원 원감, 한양여자대학 겸임교수
■ 박 명 금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졸업
전, 찬혜유치원, 송원유치원 교사
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재학
■ 홍 기 묵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재학(아동상담 전공)
전, 다솜유치원, 리라초등학교 부속 리라유치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