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 이 책은 아동의 정신건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아동의 심리 정신적 복지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들을 전문적으로 돕고자하는 아동심리 또는 아동·유아교육 전공자 및 관련 전문가들을 위하여 준비되었다. 이 책의 구성은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 제2장, 그리고 3장에서는 아동정신건강의 기초개념을 살펴보고, 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심리적, 행동적 특성과 그에 관련된 대표적인 정신건강의 문제유형들을 제시 설명하였으며, 특히 아동의 성격 발달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제4장과 5장에서는 아동의 정신건강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물리적 심리적 환경문제들을 다루었으며, 아동기에 발견되는 몇 가지 장애의 유형을 설명하였다. 제6장과 7장에서는 아동기에 당면하기 쉬운 스트레스의 특성과 이의 대처방법을 살펴보았다.제8장에서는 아동기에 충격적인 경험으로 치명적인 심리적 상처를 줄 수 있으나 어른들에 의해 대수롭지 않게 간과되기 쉬운 죽음개념의 형성과정과 이의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9장과 10장에서는 아동의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한 아동상담 및 심리치료의 제 방법들을 다루고 궁극적인 아동 복지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1998년 5월 태능에서 저자 씀
ㅣ 차 례 ㅣ
제 1장 아동 정신건강의 기초
1. 현대사회와 아동정신건강 / 2. 정신건강의 개념 / 3. 정신건강의 역사 / 4. 정신건강의 영역
제 2장 아동발달과 정신건강
1. 아동발달의 성격 / 2. 아동발달의 역사 / 3. 아동발달 이론 / 4. 태내기발달과 정신건강 / 5. 영아기 발달과 정신건강 / 6. 유아기 발달과 정신건강 / 7. 아동기 발달과 정신건강
제 3장 성격의 이해
1. 성격의 정의 / 2. 성격 이론 / 3. 성격장애 / 4. 건강한 성격
제 4장 아동환경과 정신건강 : 1. 가정 / 2. 또래 / 3. 학교 / 4. 매체
제 5장 아동기 장애와 정신건강
1. 아동기 장애행동에의 접근법 / 2. 장애행동 분류 체계 / 3. 아동기 장애의 유형
제 6장 아동기와 스트레스
1. 스트레스의 정의 / 2. 아동과 스트레스 / 3. 발달단계에 따른 스트레스와 반응 / 4. 아동기의 위기사건
제 7장 아동기 스트레스의 대처
1. 적응과정으로서의 스트레스 대처 / 2. 아동기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주는 요인 / 3.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기본 자세 / 4.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
제 8장 아동기의 죽음개념 발달과 죽음대비교육
1. 아동기 죽음개념의 발달 / 2. 죽음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는 측면 / 3. 아동기 비탄증상의 결과와 과정 / 4. 죽음충격 완화를 위한 죽음대비 교육
제 9장 아동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1. 아동기의 문제행동과 정신병리 / 2. 아동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 3. 아동을 위한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방법
제10장 아동복지와 정신건강
1. 아동복지의 개념 / 2. 아동복지의 역사 / 3. 아동복지와 정신건강 / 4. 아동복지의 과제와 전망
저자 소개
■ 강 문 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문학사)
캐나다 Manitoba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교육학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문학석사, 문학박사)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저서) 유아생활지도 / 유아언어교육 / 아동문학교육 / 부모교육 / 아동문제 및 행동수정 외 다수
■ 장 연 집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문학석사)
프랑스, Strasbourg, Univ, Louis-Pasteur대학원 심리학과(심리학박사)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역서) 동작성 가족화(K-F-D)에 나타난 활동내용, 스타일, 상징의 해석(교문사)
성인화의 분석: 동작성 집-나무-사람(K-H-T-P)검사의 해석지침서(학지사)
공저) 현대인의 정신건강(학지사)
■ 정 정 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문학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문학박사)
현재) 호서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및 부설 어린이집 원장
주요연구) 자기 조절이 정상아와 학습장애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저서) 영아·유아·아동 발달심리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