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보육과정 -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을 반영한 - -2판-

저자박찬옥 구수연 이옥임 안은정

  • 발행일2025-08-30
  • ISBN979-11-94056-34-8
  • 정가23,000
  • 페이지수336
  • 사이즈4*6배변형
  • 제본양장/4도

도서 소개

머리말
보육의 내용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계한 것을 보육과정이라고 합니다. 보육과정은 보편적으로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한 삶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러한 보편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보육내용과 방법은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라 달라지곤 합니다. 예를 들어, 농경 사회나 산업화 사회에서는 기존의 지식을 전달받도록 하고 정해진 규칙에 순응하며 교사가 가르치는 대로 잘 반응하여 익힌 것이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이라는 테크놀로지에 대처하기 위한 역량—상상력‧창의성‧의사소통‧비판적 사고‧협력‧자신감 등을 어려서부터 길러야 행복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은 영유아 중심‧놀이 중심 보육과정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인공지능시대에 적응력 있는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하여, 영유아는 자발적으로 놀이를 선택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놀이를 주도하며, 놀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경험하는 배움이 인공지능시대 역량으로 연결된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2024년 12월에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은 3~5세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0~2세 영아의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이전의 영아보육이 돌봄을 기반으로 교육을 논하였던 데 비하여 0~1세 영아를 어린 학습자로, 2세 영아를 능동적 학습자로 규정하는 혁신적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영유아가 만들어가는 보육과정‧함께 걷는 교사”라는 보육과정 포지션은 영유아관과 교사의 교육관을 새롭게 다짐하도록 하였습니다.
이에 본 책은 2020년 8월에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출판한 내용을 기조로 하면서,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의 철학을 반영하여 개정판을 내고자 하였습니다. 영유아기 보육의 내용과 방법이 이후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보육과정은 계속 반성하고 개정되어야 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책에서는 보육과정의 의미와 가치를 공감하고, 보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태도를 습득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자 합니다. 본 책의 내용은 모두 5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Ⅰ에서는 보육과정의 기초가 되는 보육과정의 개념과 이론적 기초를 이해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ART Ⅱ에서는 보육과정의 목표‧내용‧방법‧평가 등 구성체계를 살펴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ART Ⅲ에서는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의 총론과 영역별 목표 및 내용을 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ART Ⅳ에서는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반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에 대해 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ART Ⅴ에서는 국내외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의 구성체계와 현장적용에의 시사점을 파악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이 “놀이를 통해 배움이 일어나는 유능한 영유아”라는 아동관을 가지고 현장에서 놀이를 지원하고 보육하는 선생님들, 예비교사로서 영유아보육을 전공하는 학생들, 그리고 보육전문가들에게 유익한 교재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개정판의 출간을 위하여 열심히 편집과 디자인을 해주신 정민사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 8월
저자 일동
 
차례
PARTⅠ 보육과정의 기초
 
CHAPTER 1 보육과정의 개념
1. 보육과정의 정의와 관점
2. 보육과정의 특성
3. 보육과정의 변천
 
CHAPTER 2 보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1. 철학적 기초
2. 발달심리학적 기초
3. 사회적 기초 
 
 
PARTⅡ 보육과정의 구성
 
CHAPTER 3 보육과정의 구성원리와 목표설정
1. 보육과정 구성원리
2. 보육과정 목표설정

CHAPTER 4 보육과정 내용
1. 보육과정 내용선정의 기준 및 내용 유형
2. 보육과정 내용조직의 원리 및 접근
 
CHAPTER 5 교수·학습 방법
1. 영유아 학습의 기본 전제
2. 영유아 교수·학습의 원리3
3.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CHAPTER 6 보육과정 평가
1. 보육과정 평가의 대상
2. 보육과정 평가의 방법
3. 어린이집 평가
 
 
PARTⅢ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의 이해
 
CHAPTER 7 총 론
1. 성격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방향
3.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CHAPTER 8 영역별 목표 및 내용
1. 신체운동·건강·
2. 의사소통
3. 사회관계
4. 예술경험
5. 자연탐구
 
 
PARTⅣ 보육과정의 계획 및 운영
 
CHAPTER 9 영아반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
1. 영아 보육과정의 특성
2. 영아반 보육과정 편성 및 운영
3. 영아반 보육과정의 운영 계획 및 평가
4. 영아와 교사가 함께하는 일과운영
5. 영아반 환경구성: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공간과 자료
6. 영아반 교사의 역할: 보육과정 실행자로서 영아 교사·
7. 부모 및 지역사회 협력
 
CHAPTER 10 유아반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
1. 유아반 보육과정의 특성2. 유아반 보육과정 계획
3. 유아반 일과 운영 
4. 유아반 환경구성
5. 유아반 교사의 역할
6. 부모 및 지역사회 협력
 
 
PARTⅤ 국내외 영유아 프로그램
 
CHAPTER 11 국내 영유아 프로그램
1. 적응 프로그램 
2. 배변훈련 프로그램
3. 생태보육 프로그
4. 다문화보육 프로그램
5. 장애영유아보육 프로그램
 
CHAPTER 12 국외 영유아 프로그램
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2. 몬테소리 프로그램
3. 프로젝트 접근법 
4. 발도르프 프로그램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박 찬 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 전공(문학박사)
현)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명예교수
전)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유치원 원장
한국유아교육협회 회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회장
한국유아교육학회 부회장
[저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육과정』(2020, 개정판, 정민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창의융합놀이프로그램』(2020, 정민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사회교육』(2020, 개정판, 양성원)
『영유아교수방법론』(2020, 개정판, 양성원)
『유치원 다닐 때 꼭 알아야 할 65가지』(2011, 애플비)

구 수 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 전공(문학박사)
현) 국립군산대학교 아동학부 교수
[저서] 『보육학개론』(2013, 정민사)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2010, 정민사)

이 옥 임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 전공(문학박사)
현) 부천대학교 아동보육과 교수
[저서] 『영유아발달』(2025, 정민사),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2010, 정민사)

안 은 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 전공(문학박사)
전) 광진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현) 경기도 동두천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저서] 『영유아 안전관리와 안전교육』(2019, 파워북), 『영유아 교육기관 운영관리』(2019, 정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