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판 3쇄 : 2021-09-20
☞ 4판 2쇄 : 2021-01-20
☞ 4판 1쇄 : 2020-02-28
☞ 3판 9쇄 : 2019-08-30
☞ 3판 1쇄 : 2014-02-28
☞ 2판 8쇄 : 2013-03-10
☞ 2판 1쇄 : 2009-09-10
☞ 1판 11쇄: 2009-01-30
☞ 1판 1쇄 : 2003-08-22
머리말
한 권의 책이 출간되고 18년이 지나는 시점에 제4판으로 다시 책을 펴내는 일은 저자
들로서 매우 영광스럽지만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 그동안 사회복지 관련 법과 제도들의
변화로 말미암아 사회복지조직이 환경에 적응하는 양태도 다양해졌다. 특히 기존 사회복
지조직들은 공공기관과의 관계도 더욱 긴밀해졌고 다른 민간기관과의 관계는 과거에 볼
수 없는 더욱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복지조직을 둘러싼 네트워크
체계는 기존의 선형적 구조보다는 비선형적 집단네트워크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개정에서 역점을 둔 영역이 제5부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관리 부분이었다. 제14장의
환경변화와 조직혁신의 내용도 필요하지만 최근 강조되는 협력과 집합적 임팩트라는 개
념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관리 영역을 새롭게 구성했다. 강철희 교수가 한국사회복지
학회장직을 맡으면서도 새로운 15장을 집필하여 내용이 더욱 풍성해졌다.
현재 사회복지행정론 저서 가운데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한 공로는 아마도 이 책을 학
습교재로 채택한 동학재현의 선생님들께 돌려야 한다. 우리 저자들은 그동안 부단히 이
들의 피드백을 개정 시마다 반영하려고 애썼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제기된 문제 중 이
론적 부분은 다소 혼란스러운 곳이 있어서 말끔히 정리해서 크게 고전이론과 현대이론으
로 분류해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관리 영역에서도 정보관리와 관련하여 현재는
법제 및 체계와 맞지 않는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여하튼 해를 거듭할수록 복잡하고 변
화무쌍한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과제를 시대 상황에 맞추어 개정과 재개정을 해야 하는
일도 우리의 몫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래도 다행스러운 부분은 이렇게 이 책이 복잡 다
양한 사회복지행정의 핵심적 내용을 조직관리, 자원관리, 프로그램관리, 환경관리라는 큰
네 가지 수평적 영역 속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제4판 개정작업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신 정민사 박세원 대표님께 감
사의 인사를 드린다. 그리고 원고의 수정과 교정을 담당한 출판사 편집부 직원들과 중간
연락을 담당한 윤형선 과장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2020년 2월
차례
제 1 부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제 1 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 사회복지와 사회복지행정
2.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및 정의
3.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
4. 사회복지조직의 본질
5. 사회복지행정의 특성
6. 사회복지행정의 영역
제 2 장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 전망과 과제
제 3 장 사회복지행정이론
1. 사회복지행정조직이론의 개관
2. 고전이론과 인간관계이론
3. 현대조직이론
4. 기타 조직이론
제 2 부 사회복지조직관리
제 4 장 사회복지조직과 전달체계
1. 사회복지조직
2. 사회복지 전달체계
제 5 장 미시적 조직관리
1. 동기이론
2. 리더십
제 6 장 거시적 조직관리
1. 조직구조
2. 조직문화
3. 조직기술
4. 조직환경
제 7 장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역할
1. 관리와 리더십의 관계
2.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역할
제 3 부 사회복지자원관리
제 8 장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
1. 조직구성원의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인적자원관리
2. 인적자원관리의 정의와 핵심구성요소
3. 사회복지조직 인적자원관리의 핵심내용
제 9 장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1. 사회복지조직 재정관리의 특성
2. 예산의 의의와 원칙
3. 재정관리과정
4. 정부의 예산지원체계
5. 예산의 집행과 결산
6. 재원확보전략
제 10 장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
1. 비영리조직의 마케팅 도입배경과 필요성
2. 사회복지마케팅의 개념과 특성
3. 마케팅 과정
4. 사회복지조직 마케팅의 과제
5. 사회복지조직의 홍보
제 4 부 사회복지프로그램관리
제 11 장 사회복지 기획과 프로그램 개발
1. 사회복지 프로그램
2. 기획과정
3. 로직모델에 의한 성과 중심 프로그램 기획
4. 기획관리기법
제 12 장 정보관리
1. 정보화 시대의 사회복지행정
2. 정보관리체계목적
3. 사회복지기관의 정보관리체계설계
4. 사회복지조직 정보관리체계개발을 위한 과제
제 13 장 사회복지평가
1. 사회복지평가의 개념과 목적
2. 사회복지평가의 기준과 조직이론적 접근
3. 사회복지평가의 유형과 방법
4.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의 특성
제 5 부 사회복지환경관리
제 14 장 사회복지행정의 환경변화와 조직혁신
1. 사회복지행정의 환경변화
2. 사회복지기관의 경쟁력 요소
3. 사회복지조직의 혁신 필요성
4. 사회복지조직의 혁신모델
제 15 장 사회복지행정에서의 협력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장에서의 협력: 서비스 통합과 사례관리
2. 협력과 관련 개념
3. 협력의 상황과 편익들
4. 협력의 성공 및 실패 요인
5. 집합적 임팩트: 협력의 새로운 트렌드
참고문헌
찾아보기
황성철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사회복지학 박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사직종합사회복지관 관장 역임
신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역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회장 역임
<저서 및 논문>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재가노인복지 정책과 실천 외 다수
정무성
University of Chicago 사회복지행정학 박사
숭실사이버대학교 총장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보건복지부 전국사회복지시설평가단장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2019년) 역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회장 역임
<저서 및 논문> 사회복지 마케팅,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론 외 다수
강철희
University of Pennsylvania 사회복지학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원장 및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년 회장
세계공동모금회(United Way Worldwide) 이사
미국 비영리학회지 Nonprofit & Voluntary Sector Quarterly (NVSQ) 편집위원
<저서 및 논문> 한국사회 이타적 행동에 대한 이해 외 다수
최재성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사회복지학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장 역임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실행위원장 역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회장 역임
<저서 및 논문> 노인요양원과 문화변화, Dynamics of Innovation in Nonprofit
Organizations, 사회복지조직의 집단화(체인화) 현상 연구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