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융합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 - 유아과학교육 *견본증정불가

저자전경원

  • 발행일2015-02-28
  • ISBN978-89-5809-358-9(93370)
  • 정가19,000
  • 페이지수380쪽
  • 사이즈4*6배변형

도서 소개

금년은 과학의 날이 제정된 지 46년이 되는 해입니다. 1968년 4월 21일 정부는 국민이 과학에 관심을 가져 과학발전과 과학적인 생활태도를 가지게 하기 위하여, 이 날을 과학의 날로 정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을 하면서 유아과학교육도 큰 발전을 해 왔습니다.이 날을 제정한 의의에 맞게 우리나라는 과학 분야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채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유아교육 또한 변화를 거듭하였으며 2007 교육과정 이후 현재의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생애 초기 출발점 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단계에 와 있습니다. 누리과정에서는 특히 창의·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과학교육과 관련된 자연탐구 영역에서도 제시되었습니다.
이제는 과학교육을 통하여 과학적 지식을 불어넣어 주기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 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미래의 유아교사들은 과학교육을 타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좀 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과학교육을 시도하여야 합니다.
저자는 1990년대 초반부터 유아과학교육 강의를 해왔지만 과학을 전공하지 않았던 터라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저서와 논문 및 프로그램들을 접하고, 창의성을 강조한 프로젝트 중심의 과학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면서 많은 것을 터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1994년 한국우주소년단의 과학 프로그램을 분석하면서 유아과학교육의 문제점 들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미국 우주 소년단에서 NASA의 협조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NASA와 같은 곳에서도 유아들에게 그들이 개발한 과학 프로그램들을 적용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도 유아과학교육의 발전은 미미한 실정입니다.
저자는 유아들이 어떠한 문제 상황에 마주했을 때 수학적·과학적으로 사고하고 창의적이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고안해 내어 풀어감으로써 현명하게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중요한 역할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부터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와 활동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 유아교육의 현장에서 교사들은 과학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접근을 쉽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교사들의 고충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하여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킨 과학교육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본 서는 총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개념·목표·특성을, 2장에서는 외국의 유아과학교육 역사를, 3장에서는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의 역사·목표·내용을, 4장에서는 과학교육의 일반적 방법을, 5장에서는 유아과학교육 접근방법을, 6장에서는 미래의 유아과학 방향을, 7장에서는 스스로 과학활동 구성하기를, 8장에서는 창의성을 강조한 프로젝트 통합/융합 교육법을, 9장에서는 CAPA 프로그램을 활용한 우주과학활동을, 10장에서는 우주활동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3장에서는 현재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내 자연탐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현 시대에 창의성과 함께 떠오르는 ‘융합’을 적용하여 각각의 주제에 따른 활동 중에 ‘자연탐구와 타 영역 간의 창의적인 융합’에 대한 분석 내용도 추가되었습니다. 과학교육에 누리과정과 융합이 반영된 새롭고 차별화된 내용을 통해 교사로서 전공에 대한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책에서는 과학이라는 기본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부와 대학원생들이 흥미롭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특히 독자들의 관심을 고양시키기 위해 최근 신문기사를 박스(Box) 처리하여 설명했고, 학습 중간에 사전과 사후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마련하여 학습에 유용토록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본서에서는 21세기 유아들을 위한 과학내용 중에서 ‘자연현상 관찰하기’에 중점을 두어 창의성을 키워 줄 수 있는 미국 유아우주소년단 프로그램(Young Astronaut Program, YAP)을 참고로 하여 우리 실정에 적절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1994년에 한국 우주소년단 프로그램 연구를 하면서 저자에게 우주과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 주신 이상희 전 총재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도 마감 시간에 쫓기면서 작성된 원고를 정성스럽게 컴퓨터로 정리해 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생인 이애숙 양과 행복한 창의성연구소 박인영 소장과 연구원인 최공례 양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자료를 찾느라 동분서주한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김경희 양과 김승옥 양, 인터넷 자료를 찾느라 고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김영진 양에게도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사진자료를 제공해 주신 서봉유치원 원장님과 신지운 주임교사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최근의 누리과정 내용과 새로운 자료들을 검색하고 보완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연구를 도와줬던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김혜경 양, 김언지 양, 양지 양에게 감사드립니다. 특히 강의실에서 유아과학 수업을 하면서 저자에게 동기유발과 창의적인 영감을 불어넣어 주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준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자의 남편인 과학자 김명철 박사는 과학에 대한 애정을 갖고 격려와 관용을 베풀어 주었기에 이 책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끝으로 저자에게 창의적인 열정을 갖고 도전을 하도록 비전을 제시해 주신 정민사의 박세원 대표님과, 양영진 차장님, 출판사 관계자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서가 예비 유아교사들과 현장에 있는 교사들 그리고 유아과학교육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기를 바라며, 아직도 많은 점이 수정·보완되어야 하므로 개선할 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e-mai:jeonkw333@naver.com). 개정판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2015. 2. ‘행복한 창의성’을 꿈꾸며 전 경 원


l 차 례 l

chapt 1 .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 ․ 개념 ․ 목표 ․ 특성
1. 유아과학은 왜 중요한가
1.1 융합 창의성과 유아과학교육 / 1.2 유아기 과학의 중요성

2. 과학과 창의성의 본질
2.1 과학이란 무엇인가 / 2.2 과정과 결과론적 입장 / 2.3 과학과 과학교육의 특성 / 2.4 과학에서의 창의성의 중요성 / 2.5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3.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3.1 Yager와 Tamir의 과학교육 목표 / 3.2 Abruscato의 유아과학교육 목표 / 3.3 Carin과 Sund의 과학교육 목표 / 3.4 Holt의 과학교육 목표 / 3.5 Blough와 Schwartz의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 3.6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4. 왜 교사는 과학교육 수업이 어려울까
4.1 과학이 어려운 이유 / 4.2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 4.3 과학을 다루는 매체 부족

chapter 2.
1.1 1957년 이전 시기 / 1.2 1957년∼1970년대 말기 / 1.3 1970년대 말기 이후∼1980년대 말기 / 1.4 현대의 과학교육(1980년대 말기∼현재)

2. 외국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2.1 ESS / 2.2 SCIS / 2.3 SAPA / 2.4 Heath Science / 2.5 HBJ Science / 2.6 미국 우주소년단 프로그램

3.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3.1 Craig의 유아과학교육 내용 / 3.2 MC Cormack & Yager의 과학교육 영역 / 3.3 Leeper의 과학교육 내용

chapter 3 . 우리나라의 과학교육과정의 역사 ․ 목표 ․ 내용
1.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2.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과 과학교육
3. 자연탐구와 창의적인 융합

chapter 4 . 과학교육의 일반적 방법
1. 과학하는 과정

2. 질문법
2.1 질문과 질문하는 이유 / 2.2 질문과 사고력 / 2.3 교사의 질문 향상을 위한 5가지 지침사항 / 2.4 질문의 유형 / 2.5 효과적인 질문 교수방법 20가지 / 2.6 질문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형 / 2.7 효과적인 반응하기 / 2.8 질문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 2.9 유아들의 능력과 효과적인 질문 수준

3. 현장견학
3.1 현장견학의 정의 / 3.2 현장견학의 의의 / 3.3 현장견학의 장점 / 3.4 현장견학지의 예 / 3.5 현장견학 시 준비해야 할 것 / 3.6 현장견학 시 유의해야 할 사항 / 3.7 견학 10계명 / 3.8 현장경험 기록하는 방법 / 3.9 현장견학 전략

chapter 5 . 유아과학교육 접근방법
1. 통합/융합 접근
1.1. 통합/융합 접근의 개념 / 1.2 통합/융합 활동의 계획 / 1.3 통합/융합 접근의 예 / 1.4 통합/융합 접근 활동지침 9가지

2. 창의성 교육방법
2.1 브레인스토밍 / 2.2 스캠퍼 / 2.3 강제결합법 / 2.4 결점열거법 / 2.5 희망열거법 / 2.6 유추활동 / 2.7 창의성 지침사항

3. 프로젝트 접근법
3.1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 / 3.2 프로젝트의 목적 / 3.3 프로젝트의 특징 / 3.4 프로

저자 소개

■ 전 경 원(田景媛)
e mail: jeonkw333@naver.com/ blog: http://blog.naver.com/jeonkw333

【약력】
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고문
전경원의 행복한 창의성 연구소 CIO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학술지 편집위원
광주대학교 교수
(주)미래상상연구소 연구 및 운영자문위원
(사)창의공학연구원 운영위원 및 책임교수
【경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회장
하버드 대학교 객원학자
퍼듀대학교 객원 조교수
아시아-태평양 영재학회 부회장
국제영재학회 한국대표위원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소장
퍼듀대학교 부속 영재교육 연구소 교사훈련가 및 연구원
【학력】
1986-1989 미국 퍼듀대학교 교육심리(영재교육전공) 박사
1985-1986 미국 남다코타 주립대학교 대학원 상담학(영재교육전공) 석사2
1983-1985 미국 남다코타 주립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영재교육전공) 석사1
【저서 및 역서】
1. 창의력 두뇌는 만들어진다(2014.8, 아주좋은날, 저)
2. 영화를 통해 엿보는 “특수아동의 이해” (2014.3.3, 정민사, 공저)
3. 창의력 콤플렉스 (2013.8.16, 아주좋은날, 저)
4. 영화닥터 119(2012.2.28, 정민사,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