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와 교육의 목표는 인간이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명하게 문제를 해결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에 대한 탐구는 태초 학문의 시작이었으며, ‘인간행동’에 대한 연구 역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업이다. 심리학에서는 인간심리를 ‘개인 내(intra personal) 심리’와 ‘대인 간(inter personal) 심리’로 구분하고 있는데,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개인과 그 주변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과 인간행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의 변화와 인간 개인의 욕구 및 관심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인류의 행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책을 통해 대학 교육과정에서 인간 개인의 변인과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이라는 변인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복지와 교육 관련 미래인재들의 전문성 발달을 돕고자 한다.
본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째 ‘인간발달과 사회환경의 관계’에서는 인간행동과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행동과 현대사회, 한국사회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둘째로 ‘인간행동 이해를 위한 주요이론’에서는 인간행동 심리 이해를 위한 관련 발달이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마지막 ‘인간발달과 사회환경’에서는 전 생애발달 시기별 인간행동과 환경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발달 단계별 특징과 관련 환경변인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실제 사례와 사진을 중심으로 다양한 삽화와 더불어 현재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새로운 이론들을 소개함으로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책이 대학에서 복지와 교육 관련 전공 학생들이 인간행동에 대한 이래를 증진시켜 각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게 하고, 나아가 사회에서 교육과 복지에 이바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2013년 9원 저자 일동
ㅣ 목 차 ㅣ
Part 1 인간발달과 사회환경의 관계
chapter 1 인간발달과 행동의 이해: 1.유전과 발달 / 2.환경과 발달
chapter 2 현대사회환경의 특징과 인간행동
1.불확실성 / 2.개인주의 / 3.과학기술의 발달 / 4.물질만능주의 / 5.환경오영 / 6.세계화
chapter 3 한국사회환경의 특징과 인간행동: 1.가족 / 2.대인관계 / 3.미디어 / 4.학교교육 / 5.지역사회 / 6.문화
Part 2 인간행동 이해를 위한 주요인론
chapter 1 정신역동이론
1.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2.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3.정신역동이론과 보육실천과의 연계 / 4.정신역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계
chapter 2 행동주의이론
1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이론 / 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이론 / 3.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4.행동주의이론과 보육실천과의 연계 / 5.행동주의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계
chapter 3 인지이론
1.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2.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 / 3.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 4.인지이론과 보육실천과의 연계 / 5.인지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계
chapter 4 생태학적이론
1.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이론 / 2.생태학적이론과 보육실천과의 연계 / 3.생태학적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계
Part 3 인간발달과 사회환경
chapter 1 영유아기의 발달: 1.태내기의 발달 / 2.신생아기의 발달 / 3.영아기의 발달 / 4.유아기의 발달
chapter 2 아동기의 발달
1.신체 발달 / 2.인지-언어 발달 / 3.사회-정서 발달 / 4.보육실천과의 연계 / 5.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계
chapter 3 청소년기의 발달: 1.신체적 발달 / 2.심리적 발달 / 3.사회적 발달
chapter 4. 성인기의 발달: 1.성인기의 발달
chapter 5. 중장년기의 발달: 1.신체적 발달 / 2.심리적 발달 / 3.사회적 발달 / 4.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계
chapter 6. 노년기의 발달: 1.신체적 발달 / 2.심리적 발달 / 3.사회적 발달 / 4.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계
■ 조 형 숙: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김 태 인: 성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박 수 미: 한국복지사이버대학 강사
■ 윤 선 영: 건국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 배 정 호: 아해사랑 발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