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유아예술교육

저자김상림-김은심-안효진-황윤세-강진주 공역

  • 발행일2013-07-15
  • ISBN978-89-5809-240-7(93370)
  • 정가19,000
  • 페이지수384
  • 사이즈크라운변형판

도서 소개

■ 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문맥(context). 유아의 예술과의 가장 초기 경험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은 유아가 그러한 경험을 형성하고 그러한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지를 상당한 정도로 결정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저자들은 특정한 예술 형태와 그것의 실제가 그들이 광범위하게 연구해왔던 나라와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전송되고, 가치가 있으며, 영속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유아기 예술 경험에 대한 문화적인 문맥을 설명하는 장(chapers)은 이 책 전체를 통해 유지되는 문화적 견해를 더 자세히 진술한다. 각 장에서는 유아의 경험이 그들이 다니는 학교의 가장 가까운 문화, “작은(micro)”과 “중간의(meso)”수준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문화에 의해 중재되는 방식이 묘사된다.

2.발달(development). 특정 예술 형태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은 유아기에서 예술교육의 실제의 기초로 역할을 해왔다. 발달과 학습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리고 사회적으로 중재된 과정으로서 발달 그 자체에 대한 현재의 관심을 ㄴ발달의 본질에 대한 해석과 유아교육의 중심에 영향을 미쳤다. 발달에 대한 장(chapters)에서는 특정한 영역 내에서 정립된 지식을 살펴보고, 발달과 학습 사이의 관계에 대한 최근의 재해석을 알아보며, 연구와 교수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을 제공할 것이다.

3.교육과정(curriculum). 예술적으로 참되고 발달적으로 적합한 예술 경험에 대한 판별은 유아예술교육에서 중요한 관심이다. 하나의 목표를 위해 다른 하나를 희생한다는 경향은 유아교육가들과 예술 전문가들 사이에서 공동의 불만을 야기해 왔다. 이러한 장(chapters)은 유아들이 창조자, 참여자, 그리고 구경꾼의 역할로 예술에 참여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향상시키는 “인간의 감각”(Donaldson, 1978)으로 가득 찬 예술 경험을 이해하고 제시하는 모범적인 접근을 묘사한다.

역사적으로, 모든 예술을 교육적 진실성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철학적인 신념보다 정치적인 편의에 의해 더 강하게 자극받았다. 미국에서 “예술들(arts)” 프로젝트는 한 가지 형태의 예술과 관련된 비슷한 일들보다 연방정부의 재정지원의 관심을 더 쉽게 끄는 경향이 있었다. 60년대와 70년대에 나타났던 몇몇의 교육적인 글들(예: Dimondstein, 1974)을 보면, 의도 혹은 구조에 대한 좀 더 깊은 유사성에 대한 검색을 제시했거나, 경험적인 학습에 대한 예시로서 예술에서의 경험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예술이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그룹화될 수 있다는 개념의 합법성은 여전히 연구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 형성된 예술교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기준(Consortium of National Arts Education Associations, 1994)은 예술을 묶는 매듭이 심오하고 근본적인데, 이는 예술 형태의 넓은 목적과 예술 형태에 대한 기능과 창조, 수행, 그리고 인식과 관계가 있음을 인지한다.
학교에서 그리고 그 외 영역에서 각각의 분야는 서로 다른 관심, 자신만의 방식과 방법이 있다. 이러한 논의에서 전형적으로 인지되는 네 가지 예술 형태인 무용, 음악, 드라마, 그리고 미술은 전 세계적으로 학교와 유아교육기관에서 독특한 역사, 목적, 그리고 페다고지가 있다. 이 책은 예술교육가들이 서로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이고, 각각의 예술 분야에서 교육가들의 관심을 차지하는 관심과 신념의 유사성은 다른 상황과의 관련성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유아들이 학교에서 경험하게 되는 문학을 다섯 번째 예술 형태로 포함시키는 것은 방법론과 의미를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는, 아마도 다른 학문 분야에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사고와 실제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ㅣ 차 례 ㅣ

제 1부 맥락(Liora Bresler & Christine Thompson)

1. 맥락 속에서 아동의 미술적 지식: 지역사회에서의 미술과 학교에서의 미술 비교
Karen A. Hamblen
2.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세계(여러 나라)의 음악교육과 가정에서의 세계음악교육 비평
Bruno Nettl
3. 일본인 되기: 망가, 아동의 그림, 그리고 국가적 특성의 구성
Brent Wilson
4. 아동의 음악문화
Pafricia Shehan Campbell
5. 음악연주: 나미비아의 전통적인 교육과 현대교육에서 아동들의 노래와 춤 비교
Minette Mans

제 2부 발달(Christine Thompson & Liora Bresler)

6. 우리는 시인으로 시작한다: 유아기의 개념적인 도구와 예술
Kieran Egan & Michael Ling
7. 예술적인 자아의 확립: 문화적인 관점
Daniel J. Walsh
8. 유아기 음악 발달
Graham f. Welch
9. 함께 그림 그리기: 유치원 예술 수업에서의 또래의 영향력
Christione Thompson
10. 유아 드라마 교육에서 허구적인 세계와 실제 세계
Shifra Schonmann

제 3부 교육과정(Liora Bresler & Christine Thompson)

11.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나 하는 것은 우리가 누구인가 하는 것이다: 우리 삶의 이야기
Susan Stinson
12. 혼합 장르로서의 학교예술: 예술교육과정을 위한 기관적 상황
Liora Bresler
13. 예술을 통한 아동 문해교육과 각성
Daniel K. Thompson
14. 비디오 제작활동의 즐거움과 창의성, 그리고 카니발리스크
Donna J. Grace & Joseph Tobin
15. 음악 기술과 유아
Peter R. Webster

저자 소개

■ 김 상 림

University of Houston(박사), 현 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 은 심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 현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안 효 진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박사), 현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황 윤 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 현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강 진 주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박사), 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