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幼兒敎育史(유아교육사)

저자김옥련

  • 발행일2000-08-25
  • 정가12,000
  • 페이지수300쪽
  • 사이즈4*6배판

도서 소개

역사(歷史)는 과거(過去)와 현재(現在)를 연결(連結)하고, 나아가서 미래를 지향한다. 유아교육사도 그 예외는 아니다. 설령 시대와 환경에 따라 유아교육이 가공되고 분화되고 변형되면서도, 그리고 급진과 침체가 반복된 일이 있었어도, 차세대를 잘 키우겠다는 본영의 정신이 관류하였다. 어떤 시대와 사회에 있어서는 지나친 전통의식에 사로잡혀 복고적인 유아교육으로 새로운 창의적 유아교육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일종의 단절같이 보이지만 그 단절 속의 연결이 있었다.
역사의 흐름 속에서 이 연결은 진화를 움트게 하였다. 이 유아교육의 진화에 이바지한 주요한 원동력은 한 시대, 한 사회가 유아에게 기대하고 요구하느 힘과 특히 선각자, 철인, 학자들의 탁월한 유아교육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의 유아교육의 현실을 파악하고, 보다 나은 내일의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과거로부터의 진화과정의 원동력이 되었던 선험적 교육사상가와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껏 우리 나라에는 이와 같은 보다 종합적인 유아교육사에 대한 단행본이 없었다. 다만 근세나 현대의 몇몇 유아교육사상가등의 교육관이나 방법을 역사로서가 아니라 사실로서 단편적으로 다룬 역서나 서적이 있을 따름이다.
저자는 유아교육을 전공하거나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 시대적, 사회적 배경 하에서 유아교육관이나 교육의 실제 등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그 존재이유와 가치를 규명하는 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껴 왔다. 동시에 그것은 아득한 원시사회에서부터 시작하고, 또한 우리 나라의 유아교육사를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같은 책이 필요하다는 동료교수들의 지적도 있었고, 또 주변에서 그런 책을 펴내라는 권유와 고무도 있었다. 그러나 이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작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특히 우리 나라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이론에 관한 문헌이나 선행연구는 극히 희귀하였다.
결국 3년 전부터 다른 연구계획이나 활동을 가급 뒤로 ㅁ루고 그간 학생들에게 강의했던 노트, 도서관에 소장된 고전과 옛 신문 등을 토대로 쓰기 시작했다. 쓰는 과정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원고를 정리하는데 협력한 학생들이 한 둘이 아니다. 일일이 이름을 밝히지 않지만, 마음 속에서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
다만 그런 대로 작업을 마무리 짓고 보니 3년간 어깨에 멘 무거운 짐을 벗은 듯한 홀가분한 느낌이 든다. 그러나 막상 탈고하고 보니 처음에 의욕적으로 구상했던 것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이 책이 미흡하지만 유아교육을 전공하거나 관심을 가진 사람들의 연구자료가 되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이에 더할 기쁨이 없겠노라고 조용히 기원한다.
끝으로 본서의 출판을 위하여 물심양면으로 적극적인 협조를 베푸신 정민사 사장님을 비롯한 편집자, 관계사원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는 바이다.

1983년 어린이 날 송림서사(松林書舍)에서 저자 씀


ㅣ 차 례 ㅣ

제1장 고대사회(古代社會)의 유아교육(幼兒敎育)
제1절 원시사회
제2절 여가시대 초기
제3절 고대 그리스의 유아교육: 1.스파르타의 교육 / 2.아테네의 교육
제4절 초창기의 유아교육이론
1.플라톤(Platon, 428~348 B.C): 1)생애와 사회환경 / 2)유아교육관 / 3)교육 대상아 / 4)교육의 내용과 방법
2.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384~322 B.C): 1)생애와 사회환경 / 2)유아교육관

제2장 로마시대의 유아교유
제1절 가정교육과 초등교육
1.시대적 구분
2.공화정기: 1)가정교육 / 2)초등교육
3.제정기: 1)시대적 배경 / 2)가정교육 / 3)초등교육
제2절 유아교육사상
1.카토(Cato, Marcus Porcius, 234~149 B.C.)
2.키케로(Cicero, Marcus Tullius, 106~43 B.C.)
3.퀸티리안스(Quintilianus, Morcus Fabius, A.D. 35~100)
4.플루타르크(Plutarch, A.D. 46~120)

제3장 중세의 유아교육
제1절 중세사회와 교육: 1.중세의 특징 / 2.학교교육의 쇠퇴 / 3.중세교육의 특질
제2절 중세의 유아교육사상: 1.일반적 교육사상 / 2.유아교육사상

제4장 한국 전통사회의 육아사상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연구의 필요성 / 2.연구의 방법
제2절 한국 전통사회의 육아사상
1.어린이의 생득적 성질
2.교육의 목표
3.교육의 내용과 방법: 1)교육환경 / 2)교육의 내용 및 방법

제5장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제1절 르네상스기
1.사회적 배경과 유아교육
2.인문주의의 영향: 1)베기우스 / 2)에라스므스
제2절 종교개화기
1.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1)교육정책: (1)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식의 각성 / (2)공교육론 / (3)남녀공학
2)교육과정: (1)교육목표 / (2)교육내용 및 방법
2.재세례파의 유아교육
제3절 실학주의
1.실학주의의 발전계보
2.코메니우스(Comenius, John Amos, 1592~1670)
1)생애
2)유아교육관 - (1)유아교육의 중요성 / (2)학교제도론 / (3)교육의 기회균등
3)유아교육법 - (1)교육목적 / (2)교육내용 / (3)교육방법
제4절 계몽사상과 유아교육
1.계몽사상의 대두
2.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1)생애 / 2)유아교육관
3.루소(Rousseau, Jean Jacques, 1712~1778)
1)생애 / 2)에밀 / 3)유아교유관 / 4)유아교육법 - (1)교육의 목적, (2)교육의 방법
제5절 근대적 유아교육시설의 탄생
1.오베르랑(Oberlin, Jean Fredric, 1740~1826) / 2.편물학교

제6장 19세기의 유아교육
제1절 신인문주의 교육사상
제2절 유아교육관
1.페스탈로찌(Pestalozzi, Johann Heinrich, 1746~1827)
1)생애 / 2)가정교육론 / 3)인간성의 조화적 발달 / 4)직관교수론
2.프뢰벨(Frobel, Fredrich Wlhelm August, 1782~1852)
1)생애 / 2)유아관 / 3)유아교육 방법과 내용 / 4)놀이와 은물
제3절 산업혁명과 빈민교육운동
1.사회환경
2.오웬(Owen, Robert, 1771~1858): 1)생애 / 2)교육관과 유아학교
제4절 미국의 유치원
1.개척기(1855~1870) : 1)유치원교육의 도입 / 2)피이보디의 활약
2.범애기(1870~1890) : 1)교회와 유치원교육 / 2)사회사업과 유치원교육
3.교육기(1870~1890) : 1)공립유치원 / 2)전국적 파급
4.모성기(1890~1910) : 1)모친교육 / 2)부인회 홀동

제7장 20세기에 영향을 미친 주요학자
제1절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주요학자
1.몬테소리(Montessori, Maria, 1870~1952)
1)생애
2)유아관과 발달관
3)몬테소리 메소드의 원리: (1)자유와 자기활동 / (2)감각교육의 중시 / (3)3R의 교육
4)교사의 역할
2.맥밀란(McMillan, Margaret, 1860~1931): 1)생애와 활동 / 2)유아교육관 / 3)교육과정
3.피아제(Piager, John, 1896~1980)
1)약력
2)피아제의 기본적인 이론 : (1)사고의 발달구조 / (2)사고의 발달단계
3)피아제 심리학의 교육적 영향: (1)행위의 중시 / (2)학습과 발달 / (3)사회적 상호작용
4)피아제 이론과 취학전 교육과정

제2절 미국
1.진보주의적 유치원운동 : 1)진보주의적 유아교육
2.유아학교의 도입
3.공교육제도로서의 유치원

제3절 영국
1.영국 취학전 교육의 기원
2.20세기 초기의 유아교육정책
3.유아교육이론 : 1)그레이스 오웬(Grace Owen) / 2)수잔 아이잭스(Susan Isaacs)
4.유아학교의 발전 : 1)시설 / 2)교육개혁 및 확대
5.교육의 내용 및 방법 : 1)교육의 내용 / 2)교육의 방법

제4절 프랑스
1.프랑스 유치원의 기원
2.프랑스 유치원의 3원칙 : 1)의무의 원칙 / 2)무상의 원칙
3.프랑스의 신교육
4.프랑스의 유치원 : 1)구성 및 관리 / 2)교직원 / 3)학습정원과 편성 / 4)교육일수와 일과 / 5)교육내용

제5절 이스라엘
1.사회적 현실
2.추학전 교육 : 1)키부츠 거주인 자녀 / 2)부유층 가정의 자녀 / 3)원호대상자
3.교육경향과 커리큘럼 : 1)지체아 문제 / 2)발달심리학이 영향
4.교육연구 : 1)취학전 아동의 지적발달을 위한 연구 / 2)진단적 테스트

제6절 한국
1.유치원교육 도입 준비기 : 1)시대적·사회적 배경 / 2)일인 유치원의 유입
2.유치운 교육의 성립기 : 1)도입 시행기 / 2)파생기 / 3)확보기 / 4)정체기
3.해방후의 취학전 시설교육 : 1)등한기 / 2)정비기 / 3)공교육 준비기 / 4)공교육 확대기
4.교직단체와 연구기계의 활동
1)교직단체 : (1)대한유치원교육협회 / (2)한국 어린이 교육협회 / (3)한국유아교육협회 / (4)한국 기독교 유아교육연합회
2)연구기관 : (1)한국행동과학연구소 / (2)한국교육개발원
3)사단법인 : 「새세대 육영회」

제8장 앞으로의 유아교육
제1절 현대사회의 특질과 유아교육: 1.자극이 홍수 / 2.획일화의 현상 / 3.도시화의 문제 / 4.부인노동의 증가
제2절 위학전 교육의 문제:

저자 소개

■ 김 옥 련

전,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
어린이 이해와 지도, 유아교육사, 유치원 경영관리, 유아교육개론 외 논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