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5-09-30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건강가정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 건강가정에 대한 연구의 역사가 짧고, 건강가족정책 및 실천에 대한 프로그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건강가정과 비슷한 용어는 정상성기능성 등이 있다. 가족기능에서 정상과 비정상, 건강과 비건강, 기능적인 것과 역기능적인 것 등이 존재한다.
또한, 건강가정이란 가족구성원들의 개별성을 서로 인정하는 동시에 외부의 압력에 대해 가족구성원들의 대처능력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가족이다. 그리고 가족관계에서의 자율성과 적절한 가족체계 구성을 통하여 가족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족이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가족의 경제사회적 위치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현대 핵가족의 특징은 출산율 저하와 수명 연장에 의한 가족 규모의 축소와 자녀들의 독립 후의 중고령기 부부만의 기간 연장, 가족의 생활보장기능의 실질적 평등화, 맞벌이에 의한 부부의 역할 교체, 부부관계의 실질적 평등화, 가족해체의 진전, 이혼과 재혼의 증가, 이와 같은 여러 문제의 사회적 해결을 위한 사회보장사회복지에 대한 욕구의 증대 등이다. 이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앞으로 건강가정은 매우 중요한 분야를 차지할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가족문제에 대한 개입이 매우 미약하였다. 그러나 핵가족화와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다양한 가족문제가 발생하여 가족해체를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유교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가족문제가 다른 나라보다는 발전속도가 늦었지만, 최근에는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가족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는 이념하에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산업화 이전의 가족은 많은 기능을 수행하여 인간의 욕구와 문제가 가족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었으나 산업화 이후의 가족은 여러 상황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가족이 수행하던 많은 기능이 축소되고 가족은 전통적인 기능에 어려움과 혼란을 겪게 되어 이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가족복지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부 현대사회와 건강가정, 제2부 건강가정사업의 법규와 정책 및 전달체계, 제3부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과 기술, 제4부 건강가정사업의 실제와 관련분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서는 전문적인 건강가정사업의 발전을 위하여 발간되었으나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음에 기회가 있다면 기꺼이 수정하고자 한다. 본서가 이런 문제점에도 새로이 시작하는 건강가정사업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끝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보육, 유아교육 등의 분야에서 많은 책을 출간하고, 이번에도 기꺼이 본서를 출간해 주신 정민사 박세원 대표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항상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출판을 위해 수고하신 직원들께도 감사를 드린다.
2015년 9월 저자
ㅣ 차 례 ㅣ
■PART 1 현대사회와 건강가정
CHAPTER 01 건강가정의 이해
1. 가족과 가정의 이해 / 2. 건강가정의 이해 / 3. 건강가정에 대한 기능적 접근
CHAPTER 02 건강가정에 대한 학문적 및 이론적 접근
1.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방향 / 2. 건강가정의 이론
CHAPTER 03 건강가정과 가족관계
1. 가족관계의 이해 / 2. 가족관계의 체계적 접근방법 / 3. 가족관계의 유형
PART 2 건강가정사업의 법규와 정책 및 전달체계
CHAPTER 04 건강가정사업의 법규
1. 건강가정기본법 / 2. 다문화가족지원법 / 3. 한부모가족지원법
CHAPTER 05 건강가정정책
1. 건강가정정책의 이해 / 2. 건강가정정책의 접근방향과 가치 및 분석 / 3. 건강가정정책의 정책과제
CHAPTER 06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1.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의 이해 / 2. 건강가정지원센터 /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4. 건강가정사
PART 3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과
CHAPTER 07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법
1.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이해 / 2.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변천과정 / 3.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법 / 4.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CHAPTER 08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
1. 접수 및 계약과 준비 / 2. 가정사정 / 3. 가정상담 / 4. 개입 / 5. 평가와 종결 / 6. 건강가정사업의 현장실습
CHAPTER 09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유형
1. 면접 기법 / 2. 커뮤니케이션 기법 / 3. 관찰 기법 / 4. 개별화 기법 / 5. 지역사회 연계 기법
PART 4 건강가정사업의 실제와 관련분야
CHAPTER 10 건강가정사업의 실천프로그램
1. 건강가정사업 실천프로그램의 이해 / 2. 가정지원 프로그램 / 3. 가정생활교육 / 4. 부모교육 / 5.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CHAPTER 11 가정유형과 건강가정 지원서비스
1. 다문화가정 / 2.한부모가정 / 3. 조손가정
CHAPTER 12 가족해체와 건강가정 지원서비스
1. 이혼가정 / 2. 재혼가정
CHAPTER 13 건강가정의 사례관리와 가족치료
1. 사례관리 / 2. 가족치료
■ 김 익 균 : 협성대학교 아동보육학과 교수
■ 김 재 원 :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학과 교수
■ 김 태 식 : 동아인재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고 선 옥 :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겸임교수
■ 김 현 희 : 서정대학교 아동청소년보육과 겸임교수
■ 이 덕 희 : 신라대학교 사회복지과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