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15-07-31
☞ 2판 1쇄 : 2019-04-27
머리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한 정신건강의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해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이자 정신적인 성숙 상태이다. 또한 미국 정신위생위원회가 정신건강을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며 모든 종류의 개인적 사회적 적응을 포함하며 어떠한 환경에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건전하고 균형 있고 통일된 성격이라고 정의하였듯이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건강의 획득과 유지이다.
정신이 건강하다는 것은 마음의 평안을 의미하며, 마음의 걱정과 불안함이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걱정과 불안은 삶의 한 부분이다. 이처럼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는 우리가 살아가는 곳이면 어디에나 존재한다. 그리고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것은 가족관계, 인간관계, 스트레스, 중독 그리고 폭력(학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서에서는 전 세대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정신건강 위험요인들의 유형, 특성, 대처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에서 정신건강론 교재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총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정신건강의 기초적 이해는 정신건강에 대한 개념과 실천영역, 정신건강의 기초 이론에 대해 다루었다.
제2부 인간발달단계별 정신건강은 영유아기, 아동 청소년기, 성년기 노년기의 정신건강에 대한 내용으로 인간발달과정에 따른 정신건강에 대해 다루었다.
제3부 정신건강과 정신장애는 현대인들이 스트레스로 인해 겪게 되는 신경증, 정신증, 성격장애 등이 발병하는 원인과 대책 및 치료방법 등에 대해 다루었다.
제4부 현대사회와 정신건강에서는 인간이라면 겪게 되는 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처방법 그리고 가정폭력 학교폭력 자살 등에 대해 다루었다. 또한 중독의 개념과 일반적인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술 마약과 같은 물질중독과 도박, 인터넷중독, 스마트폰중독, 쇼핑중독과 같은 행위중독의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서비스의 최근 동향과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및 과제에 대해 다루었다.
끝으로 정신건강론 개정판 출판을 위해 도움을 주신 정민사 박세원 대표님과 직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9년 4월
저자 일동
차례
제1부 정신건강의 기초적 이해
Chapter 01 정신건강에 대한 개념과 실천영역
1. 정신건강의 개념 / 2. 정신건강의 실천영역
Chapter 02 정신건강의 기초 이론
1.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 정신건강 관련 이론
제2부 인간발달단계별 정신건강
Chapter 03 영유아기 정신건강
1. 태아기 정신건강/ 2. 영아기의 정신건강 / 3. 걸음마기의 정신건강 / 4. 유아기의 정신건강
Chapter 04 아동 · 청소년기 정신건강
1. 아동기의 정신건강 / 2. 청소년기의 정신건강
Chapter 05 성인기 · 노년기의 정신건강
1. 성인기의 정신건강 / 2. 노년기의 정신건강
제3부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Chapter 06 신경증
1. 불안장애 / 2. 신체형 장애 / 3. 해리성 장애
Chapter 07 정신증
1. 조현병 / 2. 기분장애
Chapter 08 성격장애
1. 편집성 성격장애 / 2. 분열성 성격장애 / 3. 분열형 성격장애 / 4. 연극성 성격장애 / 5. 자기애적 성격장애 /
6. 반사회적 성격장애 / 7. 경계성 성격장애 / 8. 강박성 성격장애 / 9. 회피성 성격장애 / 10. 의존성 성격장애
제4부 현대사회와 정신건강
Chapter 09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1. 스트레스의 개념 / 2. 스트레스의 원인 / 3.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4.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Chapter 10 폭력과 정신건강
1. 가족에 대한 기초적 이해 / 2. 가정폭력의 이해 / 3. 학교폭력의 이해
Chapter 11 자살과 정신건강
1. 자살의 정의와 현황 / 2. 자살의 정의적 · 심리적 이해 / 3. 한국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자살 / 4. 주요 자살위험군 현황/ 5. 자살방지와 우리가 해야 할 일
Chapter 12 중독과 정신건강
1. 중독장애의 특성 / 2. 물질중독 / 3. 행위중독
Chapter 13 정신건강과 사회환경
1. 사회환경 변화와 정신건강 서비스의 최근 동향 / 2.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 3.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책과 과제
손재석
현) 김천대학교 사범계열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 유아컴퓨터, 유아교육과 영상매체 활용, 인간관계 심리학 외 다수
황미영
현) 충청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충청대학교 도담 영유아발달지원센터장
저서) 아동상담, 정신건강론, 인성과 소양 외 다수
장경옥
현) 김천대학교 보건건강관리학과 교수
윤경원
현) 대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대원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장
저서) 자기 성장의 열쇠, 인간관계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