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개론서는 유아교육에 대해 많이 알고 또 깊이 연구하기 전에 공부하는 책이다. 따라서 유아교육 전반을 개괄적으로 조망해 보는데 목적을 둔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아교육개론서의 취지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책은 유아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러한 개념이 도출된 사상적. 심리적,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내용, 방법을 알아보았으며, 유아교육을 둘어싸고 있는 환경, 교사, 부모, 평가 및 기관의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아교육제도와 정책, 유치원과 초등교육과의 연계 및 유아교육이 지향해야 할 발전방향가지도 포함하였다.
또한 집필진은 가능한 한 그 분양의 최적임자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집필진은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및 연구소 등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육학자로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대학 강의가 한 학기에 보통 16주씩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한 학기동안에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전체의 장을 15장으로 구성하여 한 주에 한 장 정도를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각 장은 비교적 독립적이어서 강의하는 사람이나 공부하는 학생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며 순서를 바꾸는 것도 무방하다.
이 책은 15명의 집필진에 의한 공동작업으로 산출된 것이다. 그러나 공동집필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내용중복, 용어의 혼용 등은 집필진들 간의 아름다운 상호협력을 통해 조정하고 통합하였다. 그리고 이 책의 집필과 발간을 통해 집필진 모두는 유아교육에서 꼭 다루어야 할 내용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토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아무쪼록 유아교육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이책이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집필진 모두는 기대한다.
1996. 2. 15 저자일동
ㅣ 차 례 ㅣ
제1장 유아교육의 중요성
1. 교육의 기본관점 / 2. 유아교육의 중요성 / 3. 교육과 유아교육 / 4. 유아를 보는 시각
제2장 유아교육의 역사적 변천
1. 서양의 유아교육사 / 2. 한국의 유아교육사
제3장 인간발달과 유아교육
1. 유아발달에 대한 관점 / 2. 유아기의 발달적 특징 / 3. 발달과 유아교육
제4장 사회와 유아교육
1. 정치적 이념과 제도 / 2. 경제적·직업적 변화 / 3. 가정생활의 변화 / 4. 여성의 사회 참여 / 5. 한국사회와 유아교육
제5장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1. 유아교육기관의 개념 / 2.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 / 3. 미래지향적 유아교육기관의 방향
제6장 유아교육과정
1.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 2. 유아교육과정의 구성체계 / 3.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정
제7장 놀이와 유아교육
1. 유아놀이의 특성 / 2. 유아놀이의 기능과 효과 / 3. 놀이 이론
제8장 환경과 유아교육
1. 가정 환경 / 2.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 3. 지역사회 환경 / 4. 대중매체 환경
제9장 유아교육 교원
1. 유아교육 교원의 전문성 / 2. 유아교육 교원의 역할 / 3. 유아교육 교원의 자격 / 4. 유아교육 교원의 양성
제10장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1.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개념 / 2. 인사 관리 / 3. 시설·설비 관리 / 4. 재정 및 사무관리
제11장 부모교육
1. 부모교육의 본질 / 2. 부모기의 단계 / 3.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형 / 4. 부모교육의 이론적 체계
제12장 유아교육의 평가
1. 유아교육의 평가의 의의 / 2. 유아발달 평가 / 3.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 4. 유아교육기관 평가
제13장 유아교육 정책과 제도
1. 교육정책과 제도에 관련된 개념 / 2.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 정책과 제도 / 3. 우리 나라의 유아교육 정책과 제도
제14장 유치원교육과 초등교육
1. 교육 연계성의 개념과 필요성 / 2.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특성 /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 연계의 방향
제15장 21세기를 지향한 유아교육의 발전 방향
1. 21세기를 중심으로 한 미래사회의 조망 / 2. 21세기 교육의 특징 / 3. 우리 나라 유아교육의 발전 방향
■ 이 연 섭 : 중앙대학교
■ 방 인 옥 : 장안대학
■ 조 희 숙 : 부산대학교
■ 조 정 숙 : 한국방송대학교
■ 이 광 자 : 신구대학
■ 박 찬 옥 : 중앙대학교
■ 지 성 애 : 전남대학교
■ 마 송 희 : 침례신학대학교
■ 유 왕 효 : 서울신학대학교
■ 김 정 규 : 숭의여자대학
■ 정 갑 숙 : 총신대학교
■ 이 윤 옥 : 서원대학교
■ 엄 기 영 : 공주문화대학
■ 노 영 희 : 한국교원대학교
■ 나 정 : 한국교육개발원